+) 다 설치하고 난 후에 안 것이지만.. SU 설치는 개인 계정으로 하는 것을 권장한다..

 

이번에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버전은 44R22 로 2021년 3월에 릴리즈 되었다.

 

root 계정으로 로그인하여

# mkdir /usr/local/cwp 

tgz 압축파일을 cwp 디렉토리에 이동시켜준 다음 

# tar -xvzf cwp_su_all_44R22.tgz 

압축 풀어준다. 

 

# vi .bashrc

열어서 다음 문구를 추가한다.

 

export CWPROOT=/usr/local/cwp

 

저장한 다음 적용해준다.

# source .bashrc

 

그리고 

# vi .bash_profile

열어서 다음 문구를 추가한다.

 

PATH=$PATH:$CWPROOT/bin/

 

저장한 다음 적용해준다.

# source .bash_profile

 

다음으로

 

# make xtinstall 

을 할 때 만약 xlib.h 에러가 발생한다면

 

# yum install libx11-dev

실행했는데

No package libxt-dev available 메시지 발생.

 

구글링해서 온갖 방법을 다 시도해봤는데 잘 안됐다. 구글링 해서 상단에 나온 방식들은 다 적용해본듯.

그냥 구글링 할 때 

 

No package libx11-dev available.

 

로 서치하면 https://centos.pkgs.org 공식 홈페이지에서 그 답을 알 수 있다.

Install Howto에 들어가면 

 

# yum install libX11-devel

이라고 나온다. 

아무래도 설치파일명이 잘못되었기 때문인 듯.

공식 홈페이지에서 보여주는 파일명이 분명한지 확인을 반드시 해야한다.

 

그러면 무사히 libX11-devel 설치가 완료된다.

그 다음 다시 

 

# make xtinstall 

로 돌아가서 해주면 이번에는 Intrinsic.h 에러가 발생한다. 

 

# yum install libxt-dev 

해주면 다시 "No package libxt-dev available" 에러 발생한다.

설치 환경에 따라 조금씩 다른 명령이 필요할 수 있으니 다시 구글링을 해본다.

 

공식 홈페이지에서 알려주는 Install Howto는 다음과 같다.

 

# yum install libXt-devel

 

그러면 무사히 설치 된다.

 

올바른 명칭에 대한 의심없이 그냥 매뉴얼 따라서 하다가 너무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.

 

# make xtinstall

그러면 다시 잘 워킹한다.

 

근데

$ suplane | suximage 

하면

/usr/local/cwp/bin/ximage: Cannot connect to display !

에러가 발생한다.

 

# yum install xterm

설치해준다.

그 다음에 로그아웃 하고 다시 계정 로그인 해서 

 

$ suplane | suximage

# suplane | suximage 

제대로 워킹한다.

 

이거 하면서 너무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서... 다음번에는 이대로 따라한다고 해도 제대로 작동 안할 수도 있다.

매번 SU 설치할 때 마다 3-4시간은 꼭 소비하는 듯 하다.

나중에 또 설치하게 되면 30분 안에 설치 완료하고 삶의 질을 높이고 싶다 ㅠ

 

+ Recent posts